티스토리 뷰
파미셀 주가 전망 추이 분석
파미셀 주가 전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파미셀은 백신 관련주에 속하면서도 줄기세포 관련주에도 속하는 기업입니다. 기업이 현재 하고 있는 업무 및 현재 주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인에는 무엇이 있을지 아래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기업 살펴보기
파미셀은 1968년 설립된 기업으로 상장일은 1988년입니다. 동사는 주로 줄기세포 치료제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친환경 난연제를 주요 사업으로 함께 병행하고 있습니다.
바이오제약 전문 기업이며 매출 구성은 케미컬 사업 93.7%로 해당 사업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나오고 있으며 그 외 바이오 사업에서 6.2% 나오고 있습니다.
에스티팜과의 공동 협력사업 계약
첫 번째 파미셀 주가전망은 에스티팜과의 공동 협력사업 계약 관련입니다. 동사는 에스티팜과 mPEG 공급을 위한 공동 협력사업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. 이 계약의 주된 내용은 파미셀의 mRNA 백신 제조용 mPEG유도체(2K) 3종과 원료를 오직 에스티팜에게만 독점 공급하겠다는 내용입니다.
즉, 국내 거래로는 에스티팜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 현재 해당 원료는 mRNA 백신의 지질나노입자(LNP) 기술에 활용할 예정입니다. 지질나노입자의 특성은 개발됐을 때 사용됐던 물질을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초 물질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.
그래서 파미셀의 제품이 꾸준히 사용될 것으로 보여집니다. 이 외에도 현재 독일 머크사에도 mPEG를 공급하고 있습니다. 현재 백신 생한에 필요한 mPEG의 공급 요청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그 수요는 코로나 19가 종식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지속되리라 예상됩니다.
임상 1상 승인 관련
두 번째 파미셀 주가 전망은 임상 1상 승인 관련 내용입니다. 동사는 만성 신장질환 치료제에 대해 임상 1상을 식약처로부터 승인 받은바 있습니다. 이번에 진행 될 임상시험은 동종 골수유래 중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이식치료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입니다.
만일 이 임상이 성공한다면 이제는 골수 채취 없이 줄기 세포를 활용해서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도 가능한 구조가 됩니다. 그래서 이 임상 관련 내용도 잘 챙겨봐야 할 듯 싶습니다.
매출 흐름 파악하기
동사의 주가만 살펴보면 1년간 19.3% 하락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현재 매출액은 2017년 251억 원, 2018년 283억 원, 2019년도에는 324억 원, 2020년에는 377억 원입니다. 현재 큰 상승은 없으나 그래도 매 해년 매출이 꾸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.
영업이익은 2016년과 2017년은 적자였으나 2018년 2억원으로 흑자 전환 추세로 바뀐 뒤 2019년에는 19억원을 기록했습니다. 그리고 작년은 조금 더 성장한 72억원을 달성했습니다. 현재 2021년 2분기 흐름만 살펴보면 전년 2분기 대비 매출액은 113억원에서 137억원으로 20%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8억원에서 33억원으로 12% 정도 감소했습니다.
차트 살펴보기
마지막으로 차트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주가는 전일대비 5.57% 하락한 13,5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 52주 고가는 25,850원이었으며 52주 저가는 13,400원이었습니다. 현재 시가총액은 8124억원으로 코스피 270위에 해당합니다.
동사에 관심있는 분들은 임상 관련 내용 및 mPEG 공급 호재 관련 내용을 잘 챙겨보면서 매수 및 매도 진입하시기 바랍니다. 이상 파미셀 주가 전망이었습니다. 아래는 또 다른 기업의 현재 흐름입니다. 관심있는 분들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hk이노엔 주가 전망 및 추이 살피기
hk이노엔 주가 전망 및 추이 살피기 hk이노엔 주가 전망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현재 기관의 매수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으면서 9월 30일 기준 장이 열림과 동시에 기관은 동사의 주식을 대략 2억
sabin12.qls1224.co.kr